🔗 이 글은 토스가 toss 블로그에 올린 아티클을 번역, 요약한 글입니다.
국내에서는 서비스 기획자, PO와 PM 직무가 많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도그냥님이 브런치에서 역사적으로 각 직무가 왜 생기게 되었는지,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고찰한 K-Product ownder의 탄생론이란 글도 있습니다.
쿠팡에 이어 대한민국 스타트업계를 리딩하고 있는 또 하나의 기업인 토스에서 프로덕트 매니저(PM)이 어떤 직무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글을 소개합니다.
✍️ 요약
PO가 개울을 건너기 위해 바윗돌을 빠르게 놓아 가설을 검증한 다음,
PM은 그 돌다리같은 제품을 넓고 튼튼한 다리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 토스가 정의하는 PO와 PM
PO는 혁신을 탄생시키는 것이 목표,
PM은 그 혁신이 더 많은 이들에게 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PO는 잠재적 고객,
PM은 현재 고객에 집중합니다PO는 제품을 확장시키는 역할,
PM은 현재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합니다PO는 전략적 관점에서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설계하고,
PM은 쌓아온 데이터를 분석해 가설을 설계합니다.PO는 제품이 일정 단계에 이르르면 다른 제품으로 이동,
PM은 하나의 제품을 장기적인 관점으로 계속해서 관리, 개선해나갑니다.
💪 PM에게 필요한 스킬셋
PM은 하나의 제품을 더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 개선하는 업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전체를 바라보는 눈이 중요합니다. 이는 즉 하나의 사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케이스들을 상상하고 고려할 수 있는 역량입니다. 이 역량을 가졌다면 제품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여러 리스크들을 미리 감지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분들의 예상과 다르게, 금융 도메인 지식보다는 제품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 내릴 수 있는 역량, 제품 개선점을 발견하고 정의해 자동화, 효율화 할 수 있는 역량, 여러 내외부 이해관계자들과 원할한 의사소통 역량이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